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20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209개 세 글자:288개 네 글자:373개 다섯 글자:178개 여섯 글자 이상:246개 모든 글자:1,295개

  • : (1)‘태가하다’의 어근. (2)짐을 실어 날라 준 삯.
  • : (1)가려 뽑음. (2)태어난 지 백 일이 안 된 아이가 자주 경련이 일고 열이 나면서 젖을 빨지 못하는 병증.
  • : (1)이끼가 낀 비석(碑石).
  • : (1)중국 명나라ㆍ청나라 때에, 환관의 우두머리. (2)‘내시’를 달리 이르는 말. (3)편지 따위에서 ‘대감’을 이르는 말. (4)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에게 내는 보고서나 편지 따위의 겉봉에 ‘살펴보소서’라는 뜻으로 쓰던 말.
  • : (1)‘임신’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 (1)나라가 안정되어 아무 걱정 없고 평안함. (2)중국 요나라 도종 때의 연호(1075~1084). (3)중국 서진(西晉) 무제(武帝) 때의 세 번째 연호(280~289).
  • : (1)양념을 하지 아니한 고깃국.
  • : (1)잘못이 있거나 필요하지 않은 관원을 가려내어 쫓아 버림.
  • : (1)중국 남북조 시대 진(陳)나라 선제 때의 연호(569~582).
  • : (1)‘터거리’의 방언
  • : (1)어린아이가 타고난 체질이 허약하고 무력한 것.
  • : (1)‘퇴김’의 방언 (2)임신 중에 받은 심한 정신적 충격이나 분만할 때의 잘못 따위로 생기는 갓난아이의 경풍. (3)이끼가 낀 좁은 길.
  • : (1)삼정승(三政丞)의 지위. (2)남의 집을 높여 이르는 말. (3)이끼가 낀 섬돌.
  • : (1)아득한 옛날. (2)매우 높음. (3)타악기의 하나. 나무나 쇠붙이 따위로 만든 둥근 통의 양쪽 마구리에 가죽을 팽팽하게 씌우고, 채로 가죽 부분을 쳐서 소리를 낸다.
  • : (1)흥선 대원군 이하응을 높여 이르는 말. (2)아득히 높고 먼 하늘. (3)‘태업’의 북한어.
  • : (1)매우 지나침.
  • : (1)고려 시대에, 궁중의 일상 음식을 만들거나 제사나 연회 때의 요리를 맡아보던 관아. (2)가마니나 섬 속에 들어 있는 곡식이나 소금 따위의 물건을 찔러서 빼내어 보는 데 사용하는 기구. 보통 대통이나 쇠 통의 끝을 엇비슷하게 베어서 만든다.
  • : (1)팔괘의 하나. 상형은 ‘’로, 못을 상징한다. (2)육십사괘의 하나. 두 개의 ‘’을 포갠 것으로, 못이 거듭함을 상징한다. (3)육십사괘의 하나. 곤괘(坤卦)와 건괘(乾卦)가 거듭한 것으로, 하늘과 땅이 사귐을 상징한다.
  • : (1)삼태(三台)와 삼괴(三槐). 곧, 삼공(三公)을 이른다.
  • : (1)천태종의 가르침. (2)아이를 밴 여자가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하여 마음을 바르게 하고 언행을 삼가는 일.
  • : (1)‘설태’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 : (1)‘타이’의 공식 국가명. (2)‘타이’의 음역어.
  • : (1)부처의 능력을 의심하면서 염불한 사람이 태어나는 궁전. 삼보(三寶)를 보지 못함을 어머니의 태(胎) 안에서 해와 달을 볼 수 없음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 (1)임신 중에 몸이 여위고 노곤하여지는 증상. (2)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를 바탕으로 한 운동. 또는 그 경기. 손과 발, 또는 몸의 각 부분을 사용하여 차기, 지르기, 막기 따위의 기술을 구사하면서 공격과 방어를 한다. 단체전과 개인전이 있으며 개인전은 체급별로 이루어진다.
  • : (1)가격 따위를 표시한 꼬리표. (2)프로 레슬링에서, 두 선수가 번갈아 상대와 겨루는 일. (3)야구에서, 야수(野手)가 손이나 글러브로 공을 잡은 다음 몸을 누(壘)에 대는 일. 또는 공이나 글러브를 주자에게 대는 일. (4)글쓴이가 그 글을 검색하기 위하여 감성, 정황, 글쓴이 의지 따위를 나타내는 단어를 입력해 둔, 일종의 키워드들의 집합. 이것을 달아 두면 본문의 제목이나 내용, 카테고리 따위와는 별도로, 일반적인 관심사별로 검색하여 읽을 수 있다. (5)영화 포스터에서, 영화의 핵심 테마나 아이디어를 짧게 압축하여 나타낸 말. 흔히, 제목 위에 표기되는데, 관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도록 독특하게 표현한다.
  • : (1)중국 철학에서, 우주 만물의 근원이 되는 실체. (2)하늘과 땅이 분리되기 이전의 세상 만물의 원시 상태. (3)중국 당나라 예종 때의 연호(712).
  • : (1)연날리기에서, 줄을 팽팽하게 하였다가 갑자기 통줄을 세게 주어서 상대편의 연 머리를 그루박게 하는 일. ⇒규범 표기는 ‘튀김’이다. (2)감흙에 섞여 있는 금을 물로 이는 일. (3)두루밋과의 새. 몸의 길이는 1.4미터, 편 날개의 길이는 2.4미터, 부리는 15~17cm이며, 몸은 흰색이고 이마ㆍ목ㆍ다리와 날개 끝은 검은색이다. 머리 위에 살이 붉게 드러나 있으며 부리는 녹색이다. 풀밭에 주로 살며 겨울 철새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고 시베리아에서 번식한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두루미’이다.
  • : (1)아주 급함.
  • : (1)심마니들의 은어로, 산삼을 넣는 망태기를 이르는 말. (2)‘턱’의 방언 (3)아이를 밴 기미. (4)‘토끼’의 방언
  • : (1)인터넷상에서 자료 따위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태그를 다는 일.
  • : (1)‘토끼’의 방언
  • : (1)‘딸꾹’의 방언
  • : (1)모양과 빛깔. (2)교만한 태도.
  • : (1)‘태가’의 방언 (2)‘대가’의 방언
  • : (1)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 가운데 하나. 유연한 동작을 취하며 움직이다가 순간적으로 손질ㆍ발질을 하여 그 탄력으로 상대편을 제압하고 자기 몸을 방어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택견’이다.
  • : (1)‘배꼽’의 방언
  • : (1)‘탯자리개’의 방언 (2)‘탯줄’의 방언
  • : (1)‘태기’의 방언 (2)‘토끼’의 방언
  • : (1)‘탯줄’의 방언
  • : (1)‘대꾸’의 방언
  • : (1)조세 바치는 일을 게을리함.
  • : (1)포유류의 태아가 쓰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물건. 또는 조류나 파충류의 알껍데기 안에 있는 배(胚)의 거죽.
  • : (1)어머니의 배 속. (2)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을 낳는 기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중국 남북조 시대 북제(北齊) 무성제(武成帝) 때의 첫 번째 연호(561~562). (2)중국 남북조 시대 동진(東晉) 명제(明帝) 때의 연호(323~326). (3)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後趙) 무제(武帝) 때의 두 번째 연호(349).
  • : (1)농사일을 게을리함. 또는 그런 농민.
  • : (1)살갗이 자외선에 그을려 갈색으로 변하는 일. 또는 살갗을 자외선에 적절히 그을려 갈색으로 만드는 일.
  • : (1)‘타다’의 사동사. ⇒규범 표기는 ‘태우다’이다. (2)아주 많음. (3)‘떼다’의 방언 (4)‘타다’의 사동사. ⇒규범 표기는 ‘태우다’이다. (5)‘타다’의 사동사. ⇒규범 표기는 ‘태우다’이다. (6)‘타다’의 사동사. ⇒규범 표기는 ‘태우다’이다.
  • : (1)‘볼거리’의 방언
  • : (1)갓난아이의 황달.
  • : (1)임산부나 남편 또는 그 가족이 태교를 위하여 태아에게 말을 건네는 일. 또는 그런 말이나 대화.
  • : (1)식용으로 하는 소의 콩팥을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태두’이다. (2)천태종의 승려. (3)몸의 동작이나 몸을 가누는 모양새. (4)어떤 일이나 상황 따위를 대하는 마음가짐. 또는 그런 마음가짐이 드러난 자세. (5)어떤 일이나 상황 따위에 대해 취하는 입장. (6)저자, 화자, 서술자, 등장인물 따위가 대상에 대해 가지는 감정이 겉으로 드러난 모습. 소설에서는 서술자의 태도가 서술에 의해 직접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대화나 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많다.
  • : (1)젖먹이의 몸이나 얼굴에 진물이 흐르며 허는 증상.
  • : (1)‘탯돌’의 북한어.
  • : (1)모태 안에서의 태아의 움직임. (2)임신 중에 태아가 빈번하게 움직여서 배가 아프고 당기는 느낌이 있으며 심하면 질에서 약간의 출혈이 있는 병증. (3)어떤 일이 생기려는 기운이 싹틈. (4)‘동양’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 : (1)식용으로 하는 소의 콩팥을 달리 이르는 말. (2)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3)어떤 분야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형벌로서 볼기를 치던 일.
  • : (1)‘태두’의 방언
  • : (1)너무 한도에 지나침. (2)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에게 보내는 글이나 그림 따위의 겉봉에 ‘살펴보소서’라는 뜻으로 쓰던 말.
  • : (1)고대의 제왕(帝王)으로서 후사(後嗣) 없이 죽은 자 또는 그의 귀신을 위하여 지내던 제사.
  • : (1)험하고 높은 고개.
  • : (1)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에, 소를 통째로 바치던 일. 또는 그 소. 원래는 소, 양, 돼지를 함께 바쳤으나, 뒤에는 소만 바쳤다.
  • : (1)임신 중에 자궁에서 피가 나는 병.
  • : (1)선태식물의 한 무리. 암수딴그루로 엽록소가 있어 탄소 동화 작용을 하며, 홀씨로 번식한다. 몸은 잎과 줄기의 구별이 없고 가는 털과 같은 헛뿌리가 밑동에 있다. 뿔이끼류, 우산이끼류 따위가 있다.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란다.
  • : (1)고려 성종의 친아버지 욱(旭)의 능. 대종(戴宗)이라고 추존(追尊)하고 봉릉(封陵)하였다. (2)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조선 중종의 계비 문정 왕후(文定王后)의 능. 사적 제201호. (3)중국 베이징(北京) 창핑구(昌平區) 톈서우산(天壽山)에 있는 명나라 홍치제의 능.
  • : (1)지체 높은 어른이 출타함.
  • : (1)짐을 나르는 데에 쓰이는 말.
  • : (1)태아를 보호하고 호흡과 영양 작용을 하는 양막(羊膜), 장막(漿膜), 요막(尿膜)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열심히 하려는 마음이 없고 게으름.
  • : (1)궁중에서, ‘콩가루’를 이르던 말. (2)‘볼거리’의 방언
  • : (1)아이를 밴 여자의 맥.
  • : (1)예전에, 삼정승의 명령이나 지체 높은 사람의 명령을 이르던 말. (2)태아 시절에 부르는 이름.
  • : (1)배 안에 있는 새끼 짐승의 몸에 난 부드러운 잔털. (2)태아를 가진 어머니라는 뜻으로, ‘임부’를 이르는 말.
  • : (1)아이를 밸 것이라고 알려 주는 꿈.
  • : (1)종묘의 정전(正殿).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으로, 초에는 목조, 익조, 탁조, 환조 등 태조의 사대조(四代祖) 신위를 모셨으나 그 후에는 당시 재위하던 왕의 사대조(四代祖)와 조선 시대 역대 왕 가운데 공덕이 있는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19칸으로, 단일 건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다. 국보 정식 명칭은 ‘종묘 정전’이다. 국보 제227호. (2)임금의 삼년상(三年喪)을 마친 뒤에 그 신주(神主)를 종묘(宗廟)에 모시던 일.
  • : (1)거의 없음.
  • : (1)상대편의 편지를 높여 이르는 말.
  • : (1)이끼 모양으로 생긴 무늬.
  • : (1)소, 말, 나귀 따위의 동물에 실린 짐. 또는 그런 동물을 이용해서 운반해야 할 짐.
  • : (1)생각보다 많은 정도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규범 표기는 ‘템’이다.
  • : (1)‘타박’의 방언
  • : (1)반수 이상. (2)미세한 광물이나 진흙에 섞인 광석을 물과 함께 경사진 곳을 흐르게 하여 선별하는 기계. (3)거의 절반. (4)임신 중 태아와 모체의 자궁을 연결하는 기관.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배설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 : (1)출생한 후 한 번도 깎지 않은 갓난아이의 머리털. (2)수염처럼 길게 자란 이끼.
  • : (1)‘타박’의 방언 (2)팔방의 하나. 정서(正西)를 중심으로 한 4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3)‘토방’의 방언
  • : (1)복어의 등이란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사람이 늙으면 피부에 복어의 등에 있는 얼룩 같은 검버섯이 생긴다고 하여 이르는 말이다.
  • : (1)강원도 남부에 있는 시(市). 태백 탄광 지역의 중심지이며 국내에서 무연탄이 가장 많이 난다. 명승지로 용연굴(龍淵窟)이 있다. 면적은 303.57㎢. (2)저녁 무렵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이르는 말. (3)‘타박’의 방언
  • : (1)죄인의 볼기를 작은 형장으로 치던 형벌.
  • : (1)갓난아이가 먹은 것 없이 처음으로 싸는 똥. 장(腸)의 점액, 쓸개즙 성분, 콜레스테롤 결정 및 양수(羊水)의 혼합물로, 분만 후 2~4일에 배설하는데 빛이 검고 유난히 반드럽다.
  • : (1)갓난아이의 간질. (2)태아 때에 받은 원인으로 갓 태어나서 앓는 병. (3)떠서 말린 파래.
  • : (1)고려 시대에, 임금의 고문을 맡은 정일품 벼슬. 종친과 원로급 벼슬아치에게 주는 명예직이었으며 적임자가 없을 때에는 비워 두었다. 태사(太師)ㆍ태부(太傅)와 함께 삼사(三師)라 불렸는데, 진급 순위에서 맨 아래였다. (2)고려 말기에, 동궁에 속하여 왕세자의 교육을 맡아보던 종일품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세자보로 고쳤다. (3)중국 주나라 때의 벼슬. 태사, 태부와 더불어 삼공의 하나였다. (4)조선 시대에, 베나 무명 대신 콩으로 받아들이던 보포(保布). (5)임금을 돕고 백관을 다스리는 대신. 재상(宰相), 삼공(三公)을 이른다. (6)태아를 싸고 있는 막과 태반.
  • : (1)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의 수레와 말을 관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명칭이 사복시(司僕寺)와 번갈아 여러 번 바뀌었다.
  • : (1)왕실에서 태어난 갓난아이의 태를 묻음. (2)왕실의 태를 봉안하는 태실 가운데 그 태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하면 태실을 봉하는 제도. (3)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서진산에 있는 산봉우리. 조선 왕조 13위(位) 왕족의 태를 묻은 곳이다. (4)901년에 궁예가 송악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건국 당시 국호를 후고구려라 하였다가 905년에 도읍을 철원으로 옮기면서 국호를 태봉, 연호를 수덕만세(水德萬歲)라고 하였다. 918년에 왕건에게 망하였다.
  • : (1)고려 시대에, 임금의 고문을 맡은 정일품 벼슬. 원로대신에게 주는 명예직이었다. 태사(太師)ㆍ태보(太保)와 함께 삼사(三師)라 불렸는데, 태사 다음의 벼슬이었다. (2)고려 시대에, 동궁에 속하여 왕세자의 교육을 맡아보던 종일품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세자부로 고쳤다. (3)중국 주나라 때의 벼슬. 태사, 태보와 더불어 삼공의 하나였다.
  • : (1)갓난아이가 먹은 것 없이 처음으로 싸는 똥. 장(腸)의 점액, 쓸개즙 성분, 콜레스테롤 결정 및 양수(羊水)의 혼합물로, 분만 후 2~4일에 배설하는데 빛이 검고 유난히 반드럽다.
  • : (1)복식(服飾)에서, 비옷 따위의 소맷부리나 요크에서 볼 수 있는, 장식용 또는 조이는 용도로 겹쳐 댄 띠 모양의 천. (2)모자의 귀 가리개. (3)구두끈 끝의 쇠붙이. (4)천공 카드, 오엠아르 카드 따위로 입력된 대량의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입력된 자료들을 도표로 만드는 작업. (5)컴퓨터로 계산 또는 통신을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결정표로 구성되는 표현과 규칙의 집합. 표가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실을 한다.
  • : (1)무엇을 입이나 옷에 잔뜩 묻히는 일 (2)이끼가 낀 비석. (3)‘퇴비’의 방언
  • : (1)프린트 용지나 화면상에서, 프린터 헤드나 커서를 다음의 지정된 위치로 옮기는 일.
  • : (1)중국에서 기록을 맡아보던 벼슬아치. (2)조선 시대에, 임금이 토지신에게 제사 지내던 사당. (3)고려 시대에, 임금의 고문을 맡은 정일품 벼슬. 원로대신에게 주는 명예직이었다. 태부(太傅)ㆍ태보(太保)와 함께 삼사(三師)라 불렸는데, 이 중 가장 높은 벼슬이었다. (4)고려 시대에, 동궁에 속하여 왕세자의 교육을 맡아보던 종일품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제자사로 고쳤다. (5)중국 주나라 때의 벼슬. 태부, 태보와 더불어 삼공의 하나였다. (6)고구려의 관등명. 두 번째 관등이다. (7)굵은 털실. (8)고려 시대에,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의 세 벼슬을 통틀어 이르던 말. (9)물에 일어서, 좋고 나쁜 것을 가려 놓음.
  • : (1)높고 큰 산. (2)크고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타이산산’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 (1)가장 뛰어난 것. (2)천제(天帝)의 아들, 즉 하늘의 뜻을 받아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군주 국가의 최고 통치자를 이르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임금 또는 왕(王)이라고 하였다. (3)고려 시대에, 제사를 주관하고 왕의 묘호와 시호를 제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4)아이를 배고 있는 동안. (5)‘개상’의 방언 (6)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北魏) 명원제 때의 세 번째 연호(416~423). (7)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남연(南燕) 모용초(慕容超) 때의 연호(405~410).
  • : (1)어떠한 곳에 태어남. (2)모체 안에서 어느 정도의 발육을 한 후에 태어나는 일. 단공류(單孔類)를 제외한 포유류에서만 볼 수 있다. (3)사생(四生)의 하나. 모태(母胎)로부터 태어나는 생물을 이른다. (4)나무에 과실이 달린 채 씨가 싹 터서 유식물(幼植物)이 됨. 또는 그런 발아 형식.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타, 탁, 탄, 탈, 탐, 탑, 탓, 탕, 태, 택, 탬, 탭, 탱, 터, 턱, 턴, 털, 텀, 텅, 텋, 테, 텍, 텐, 텔, 템, 텝, 텡, 텨, 텹, 톄, 토, 톡, 톤, 톨, 톱, 톳, 통, 퇴, 툅, 투, 툭, 툰, 툴, 툼, 툽, 퉁, 퉤, 튀, 튈, 튐, 튝, 트, 틀, 틈, 틉, 틔, 티, 틱, 틴, 팀, 팁

실전 끝말 잇기

태로 끝나는 단어 (1,296개) : 식은태, 안면해태, 점근 행태, 갠태, 선행 함수 상태, 온라인 상태, 사회 경제 형태, 과속 상태,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태, 홀드 상태, 일중항 상태, 축퇴 상태, 기호 형태, 다중 처리기 시스템 형태, 고무 상태, 몽환 상태, 백전불태, 무기태, 시태, 건태, 깡태, 고장 형태, 저자 망태, 광선 형태, 고장 대체 상태, 윤태, 단위 상태, 문서 상태, 루태, 모태 ...
태로 끝나는 단어는 1,29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태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20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